1. 개념
가장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(LAN)
2. 조건
모든 host(ethernet에 연결된 server 혹은 PC)들은 동일한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어야 함
3. 데이터 손상/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
여러 대의 host가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을 할 때,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이 LAN의 대역폭을 넘을 수 있음. 대역폭이 넘을 경우 데이터 손실/손상이 발생하며, 아래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손실/손상을 방지
1) 데이터 전송 전, network가 사용중인지 체크
2) 사용 중 - 대기하면서 주기적으로 사용 중인지 체크
미사용 - 데이터 전송
<2개의 host가 동시에 미사용인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손실/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>
3) 보낸 자신의 data 가 손상됐는지 체크
4) 손상 - 재전송 (2개의 host가 동시에 재전송할 수 있음으로 재전송 시각은 일정한 방법에 의해 변경)
손상X - 전송 완료 처리
4. domain
1) collision domain (host 간 데이터 전송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)
- collision domain이 커진다는 것은 host들이 많아진다. -> host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host들 간에 collision 충돌을 피하기 위한 작업이 많아진다. -> network 속도 저하
- collision domain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network 장비가 bridge, switch
2) broadcast domain (하나의 broadcast 를 받는 영역)
- router 와 VLAN 기능을 가진 L2 swtich, L3/L4/L7 switch는 하나의 broadcasting domain을 여러개의 broadcasting domain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.
cf. subnetting
하나의 network를 여러개의 subnet으로 분리하는 것 - broadcasting domain으로 분리
IP 주소 기반으로 IP 주소를 이해할 수 있는 router는 가능하나, IP 주소를 이해할 수 없는 bridge나 switch는 불가능하다. (swtich 에 VLAN 기능이 있을 경우 가능)
'Programming Theory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DP protocol (0) | 2014.12.27 |
---|---|
TCP protocol (0) | 2014.12.27 |
OSI 7 layer 와 level 별 switch 장비 (0) | 2014.12.21 |
OSI 7 Layer 와 network 장비 (0) | 2014.12.21 |
Socket 통신 (0) | 2014.12.09 |